23. 전송 계층의 역할
1.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가능.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게되면 책임지지 않음.
전송계층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
하기 위해 필요.
- 네트워크 계층은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달
, 전송계층은 데이터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
&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2.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
- 전송 계층의 특징:
신뢰성/정확성, 효율성
- 신뢰성 및 정확성: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하는 것 ⇒
연결형 통신
- 효율성: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 ⇒
비연결형 통신
-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연결형 통신
,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는 비연결형 통신
TCP
: 전송 계층의 연결형 통신 프로토콜
UDP
: 비연결형 통신 프로토콜
24. TCP의 구조
1. TCP란?
캡슐화
: 응용 계층부터 물리 계층까지 계층별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헤더를 붙이는 것
역캡슐화
: 데이터 수신 측에서 물리 계층부터 응용 계층까지 계층별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헤더를 제거하는 것
TCP 헤더
: (전송계층에서)TCP로 전송할 때 붙이는 헤더 , 세그먼트
: TCP 헤더가 붙은 데이터
-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연결
이라는 가상의 독점 통신로
를 확보해야함. ⇒ 이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