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큐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모두에서 형성될 수 있음. 큐의 위치와 범위는 트래픽 로드, 스위치 구조의 상대 속도 및 라인 속도에 따라서 달라짐.
큐가 더 커지면 → 라우터의 메모리가 소모될 수 있고 도착하는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없을 때 패킷 손실
이 발생함!
이전에는 패킷이 네트워크 내에서 손실 되거나 라우터에서 감소
된다고 언급했었는데, 여기 라우터 내의 패킷이 실제로 삭제되고 손실되는 큐에 있음.
동기식 & 비동기식 ⇒ 동시 x, 동시 o
흰색 박스도 패킷이다. 목적지의 계층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박스 사이즈 .. (물리 계층 →
지연 없이 구조를 통해 도착하는 모든 패킷을 전송하기에 스위치 구조가 충분히 빠르지 않다면? ⇒ 패킷이 스위치 구조를 통해 출력포트로 전송되기 위해 차례를 기다려야 함.
이 큐잉의 중요한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크로스바 스위치 구조를 가정해본다.
<aside> 💡 크로스바 스위치 구조
</aside>
출력 포트가 다르다면 여러 패킷이 병렬로 전달 가능하지만, 두 패킷이 같은 출력 큐로 향한다면 이 중 한 패킷은 차단되고 입력 큐에서 기다려야함. 즉, 스위치 구조는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 지정된 출력포트로 전송이 가능함.
위의 그림은 입력 큐 앞 쪽에 있는 2개의 패킷이 동일한 오른쪽 상단의 출력 포트로 보내지는 예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