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함.
논리적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관점) : 프로세스들이 동작하는 호스트들이 직접 연결된 것처럼 보인다는 것.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는 메시지 운반에 사용되는 물리적 인프라스트럭처의 세부 사항에 상관없이 서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제공하는 논리적 통신을 사용함.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라우터가 아닌 종단 시스템에서 구현됨. 송신 측의 트랜스포트 계층은 송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
라고 알려진 트랜스포트 계층 패킷으로 변환함.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를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로 만들기 위해 작은 조각으로 분할 → 각 조각에 트랜스포트 계층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수행됨. → 트랜스포트 계층은 송신 종단 시스템에 있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세그먼트 전달 → 여기서 세그먼트가 네트워크 계층 패킷(데이터그램)안에 캡슐화되어 목적지로 전달됨.
네트워크 라우터는 오로지 데이터그램의 네트워크 계층 필드에 대해 동작한다
는 것을 유의해야함.
(라우터는 데이터그램 아넹 캡슐화된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의 필드를 검사하지 않음.)
수신 측에서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그램으로부터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트랜스포트 계층으로 세그먼트를 보냄.
이후, 트랜스포트 계층은 수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세그먼트 내부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수신된 세그먼트를 처리함.
인터넷 → TCP, UDP라는 두 가지 프로토콜 갖고 있음.
트랜스포트 계층은 프로토콜 스택에서 네트워크 계층 바로 상위에 존재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