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P2P 파일분배

현재까지 기술한 애플리케이션(웹, 전자메일, DNS 등) 모두는 항상 켜져 있는 인프라스트럭처 서버에 의존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채택하고 있음.

P2P 구조는 항상 켜져 있는 인프라스트럭처 서버에 최소한으로(혹은 전혀 안 함) 의존한다. 대신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호스트 쌍들이 서로 직접 통신함. 피어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제어하는 데스크톱과 랩톰, 스마트폰이 소요함.

커다란 파일을 한 서버에서 다수의 호스트(피어)로 분배하는 매두 자연적인 P2P 어플리케이션을 다룸. 이 파일은 리눅스 운영체제의 새로운 버전 등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분배에서 서버는 파일 복사본을 각 피어들에게 보내야함. (서버에게 부하를 주고 많은 양의 서버 대역폭을 소비함.) P2P 파일 분배에서 각 피어는 수신한 파일의 임의의 부분을 다른 피어들에게 재분배할 수 있어서 서버의 분배 프로세스를 도울 수 있음.

2020년도 기준 인기 있는 P2P 파일 분배 프로토콜은 비트토렌트

P2P 구조의 확장성

두 가지 구조 유형에 대해 한 파일을 고정된 수의 피어들에게 분배하는 양적 모델 고려

Untitled

서버와 피어들은 접속 링크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음.

(세부적 설명 책 참고)

분배시간은 모든 N개의 피어들이 파일의 복사본을 얻는 데 걸리는 시간.

분배 시간에 대한 분석에서 클라이언트-서버와 P2P 구조 모두의 경우, 인터넷 코어가 풍부한 대역폭을 갖고 있다는 간단한 가정을 하며, 모든 병목 현상은 네트워크 접속 부분에 있음을 의미함.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대한 분배 시간을 결정